차를 가지고 있는 오너라면 고속도로는 한 번쯤은 타 보셨을 텐데요. 이 고속도로는 유로도로이기 때문에 일정 거리를 이용하게 되면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요즘에는 하이패스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정차하지 않고도 통행증과 요금이 톨게이트에서 자동으로 결제가 되는데요. 여러 다양한 상황에 의해서 하이패스가 인식이 안되어 결제가 되지 않아 고속도로 통행료가 미납이 되는 경우가 종종 생기곤 합니다. 이때 미납된 통행료를 납부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 함께 보면 좋은 정보들 @
@경차 오너라면 필수인 경차 유류세 환급카드@
- 현재 경차를 타시는 분들의 유류값 절약을 하실 수 있는 유류세 환급카드에 대한 글입니다.
@매번 까먹는 개인통관번호 조회하는 방법@
- 해외 직구 시에 반드시 필요한 개인통관번호를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자연도 지키고 포인트도 받는 탄소중립실천포인트@
- 일상생활 속에서 친환경활동을 통해 포인트도 받고 인센티브도 얻을 수 있는 탄소중립실천포인트에 대한 글입니다.
=============================================
1.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
고속도로 통행료가 미납이 되는 경우는 다양하고 흔하게 일어나는 일입니다. 그럴 때는 당황하지 마시고 통행료를 미납한 지 2~3일 후에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차량번호만 입력해 보시면 그 차량의 통행료 미납된 이력이 나오게 됩니다. 그럼 그때 통행료를 납부하시면 됩니다.
2. 콜센터
고속도로 통행료 미납은 홈페이지를 이용해서 납부하는 것이 조금 어렵다 하시는 분들은 콜센터에 전화해서도 납부하실 수 있는데요. 한국도로공사 콜센터에 전화하시게 되면 친절하게 설명해 주며 얼마를 납부해야 되고 어떻게 납부하면 되는지도 알려줍니다. 콜센터도 전산 처리에 대한 딜레이가 조금 있을 수 있으니 2~3일 뒤에 전화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3. 편의점 직접 납부
홈페이지도 어렵고 콜센터도 힘들다 하시는 분들은 주변에 많이 있는 gs25나 cu에서도 납부하실 수 있는데요. 편의점에서 일하시는 분에게 미납요금 납부하러 왔다고 말해주시고 차량번호와 생년월일을 알려주면 미납된 요금을 조회할 수 있고 현금이나 카드로 납부도 하실 수 있습니다.
가끔가다 보면 고속도로 통행료가 결제가 안되었다고 당황해서 갑자기 멈추거나 영업소를 들어가기 위해 급차선변경을 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때 당시에 당장 내지 않는다고 큰일 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집이나 핸드폰이나 편의점에서도 충분히 납부하실 수 있으니 그런 일이 생기시면 당황하시 마시고 가던 길 계속 가시면 될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