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지식

프리랜서의 급여 세금 3.3% 계산기 두드려보기

직장에서 4대 보험에 가입이 되어있다면 급여를 받을 때 대략 10%의 세금을 내야 하지만, 프리랜서나 4대 보험에 가입하지 않으신 분들은 3.3%의 세금만을 내면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급여를 주는 쪽에서 미리 세금을 제하고 주는 게 대부분인데요. 세금 3.3%를 떼었을 때 내가 받게 되는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를 계산해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 함께 보면 좋은 정보들 @

#내가 받게 될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계산해 보는 방법#

- 내가 국민연금을 수령할 나이가 되었을 때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해 보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세금을 냈더니 할인해 줍니다. 세금포인트 할인쇼핑몰(조회, 혜택)#

- 성실히 납부한 세금에 대해 포인트를 받고 그 포인트로 할인쇼핑몰에서 쇼핑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내가 받게 될 2023년 연봉 실수령액은 얼마일까?(실수령액 계산기)#

- 회사에서 계약하고 온 연봉에서 내가 실제로 받게 되는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1. 세금 3.3%란?

회사에 취직하게 되면 대부분의 경우에는 4대 보험에 가입이 의무적으로 되어서 급여를 받을 때 세금과 보험료로 대략 10%가 떼이지만, 프리랜서의 경우에는 4대 보험에 가입하지 않기 때문에 사업소득의 세율인 3%와 거기에 지방소득세 10%가 추가되어 총 3.3%의 세금이 납부하고 있습니다.

2. 세금 3.3% 계산기

3.3% 세금 계산을 간편하게 해 볼 수 있는 홈페이지가 있는데요. 이곳에서는 총계약금을 알고 있을 때 3.3%의 금액과 이를 제외한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실 수 있으며, 급여의 실수령액을 알고 있을 경우에는 3.3%의 금액과 세금을 제외하기 전에 금액을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3. 퍼센트 계산으로 3.3% 계산하기

우리가 자주 사용하고 있는 검색포털 사이트에서도 간편하게 계산해 보실 수 있는데요. 검색포털 사이트에서 '퍼센트 계산기'를 검색해 보시면 간략한 계산기가 있습니다. 여기서 자신이 계산해보고자 하는 수치를 기입하시고 계산을 누르시게 되면 값을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소득에는 세금이 부여되기 때문에 이처럼 세금 계산에 대한 관심이 많으신데요. 위의 방법으로 계산해 보는 값들은 대략적으로 모의계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값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단순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